원본 시험지
PDF 다운로드1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6.6kV 또는 13.8kV급 공장 구내에 설치된 한시과전류 보호계전기 상호간의 협조 시간 간격을 제시하고, 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시간 협조항목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2 |
고압전동기용 과전류 계전기(50/51)를 정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 |
송전망에 사용하는 SPS(Special Protection System)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 |
대용량 발전기에 적용하는 예방진단시스템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5 |
배전용에 사용하는 22.9kV Cable에서 CN/CV, CNCV-W, FR CNCO-W, TR CNCV-W의 구조(형태)와 특징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6 |
수차발전기와 화력용 터빈발전기를 비교 설명하시오.
댓글 0
|
7 |
전력계통에서 수전단 전압과 송전전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8 |
ESS(Energy Storage System)와 UPS(Uninterruptible Power Supply)를 비교 설명하시오.
댓글 0
|
9 |
저압 지중배전계통 구성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0 |
대용량 화력의 부하변동에 따른 발전기 자기부하제어특성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1 |
전력시스템의 기본 신뢰도 지수에 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2 |
아래 그림은 대용량 산업 플랜트 시스템이다. 변압기 TR2의 유지보수시 전동기 M2 전원 공급을 위한 전동기 절체방법 5가지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3 |
아래 그림의 다분기 모선의 F1점 사고시 모선보호용 비율차동계전방식(Partial differential protection(87B))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T/L#1 T/L#2 Ⅰ 87B1 87B2 N.C N.O CB1 CB3 N.C BUS1 CB2 BUS2 Ⅰ1 F1 Ⅰ 2 P1+Q1 P2+Q2
댓글 0
|
2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신규로 계통에 연결할 터빈발전기의 동기가 불일치할 때 (1) 터빈발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설명하시오. (2) 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동기투입 조건을 제시하시오. (3) 비동기 투입될 경우 동기조건 별로 각각 예상되는 계통 운영상의 문제점을 설명 하시오.
댓글 0
|
2 |
가스터빈발전기 100MW 2기, 스팀터빈발전기 100MW 1기로 구성된 복합화력발전소의 주 단선도(Key Single Line Diagram)를 설계하고, 주요기기의 용량 선정 사유와 주요 기기 사양을 설명하시오. (단, 발전기 전압 22kV, 발전기 역률 80%, 정지형여자기 사용, 고압전동기 전압 6.6kV, 저압전동기 전압 0.46kV, 송전 전압 154kV 사용)
댓글 0
|
3 |
수력발전소에서 조압수조(Surge tank)의 기능과 서징작용(Surging) 및 조압수조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 |
전력계통에서 주파수제어(AFC)와 경제부하 배분(ELD)과의 협조제어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5 |
345kV 변전소에서 변압기 1차측 과전류 계전기 정정시 다음사항을 설명하시오. (1) 여자돌입전류를 고려한 Digital 계전기와 Analog 계전기에서 정한시 정정 차이점 (2) 여자돌입전류 메커니즘(Mechanism) 및 발생원인
댓글 0
|
6 |
다기 계통을 해석할 경우 상차각과 전력편차를 이용한 안정도 계산법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대용량 유연탄 화력발전소를 신규로 건설하고자한다. 타당성조사 역무(work scope) 내용을 작업 순서대로 설명하시오.
댓글 0
|
2 |
우리나라의 장기 전력계통 운영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일환으로 전력계통 신뢰도 및 품질유지를 위하여 검토해야 할 주요 역무 5가지 이상을 열거하고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 |
화력발전소에서 급수 순환 방법에 의한 보일러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 |
자동 부하전환 개폐기(ALTS)의 운영방법, 적용기준, 운전방식, 설치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5 |
대용량 발전소의 설계시 검토되는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. (1) 동기임피던스와 단락비 관계의 수식 (2) 단락비를 크게 하기위한 동기기 제작 상 고려 사항 (3) 단락비를 크게 할 경우 계통 특성에 미치는 영향
댓글 0
|
6 |
연가(Transposition)의 목적을 선로정수 L과 C를 사용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전압무효전력 제어에 이용되는 주요기기의 종류와 그 역할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2 |
낙차가 작은 수력발전소에서 원통형(Tubular) 수차와 직결하여 사용하는 유도발전기의 장ㆍ단점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 |
전력계통의 부하 모선에서의 전압변동이 그 모선에 접속된 부하 응답모델의 소비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 |
HVDC(High Voltage Direct Current) 시스템 구성 설비 중 다음사항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. (1) 필터 설계 시 주의사항, 최소용량, 설치목적 (2)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고조파가 각종 기기에 미치는 영향
댓글 0
|
5 |
분산전원을 연계할 경우 배전계통과 송전계통의 문제점 및 대책에 대하여 각각 설명 하시오.
댓글 0
|
6 |
그림과 같이 발전소 G는 1000kVA와 2000kVA를 갖는 발전소로서 발전소 내에 정격 차단용량 150MVA의 차단기가 사용되고 있다. 이 발전소를 10000kVA의 주변압기를 갖는 인접한 변전소 S와 연계해서 운전하고자 할 경우 발전기의 차단기는 절체하지 않고 연계선의 한류리액터 X를 삽입하려고 한다. 전압변동을 고려하여 10% 여유를 둘 경우의 리액턴스 X를 구하시오.
댓글 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