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본 시험지
PDF 다운로드1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가연성 가스의 저장․취급시설에 설치하는 연결살수설비의 헤드 설치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2 |
어느 수계소화설비에 설치된 직관과 관부속류의 전체 상당길이 L 은 30(m), 배관의 내경 D 는 65(mm), 조도계수 C 는 100, 유량 Q 는 1500(ℓpm)일 때의 )을손실(kg/ 계산하시오.
댓글 0
|
3 |
유해위험물질(화재폭발 및 독성)은 유해가스 위험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독성지수를 적용한다. 대표적인 지수인 TWA 및 STEL 에 대하여 각각 기술하시오.
댓글 0
|
4 |
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하는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제어반 기능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5 |
소방용 릴리프밸브(Relief V/V)와 스트레이너(Strainer)의 구조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6 |
옥내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용 축전지설비의 설치기준과 축전지설비의 용량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조건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7 |
제 3 류 위험물의 품명, 성질, 취급요령 및 소화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8 |
제연설비의 급기구에 설치하는 댐퍼 설치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9 |
건식밸브내의 프라이밍 워터(Priming Water)가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10 |
같은 건축물 안에 공동주택과 위락시설 등 중 하나 이상을 함께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˝복합건축물의 피난시설 등˝의 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11 |
피난․방화규칙(복합자재 사용이 가능한 공장용도)에 따른 소규모 공장용도 건축물의 조건과 내부마감재료 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12 |
특정소방대상물의 증축 또는 용도 변경시 소방시설기준 적용에 있어 기존부분이 현행 법령과 화재안전기준을 적용 받지 않는 조건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13 |
위험물 제조소 및 일반취급소의 보유공지 기준과 완화조건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2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숭례문 화재 등 목조 문화재 건축물을 화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방화 및 소방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2 |
소화배관내의 임의 지2을 통과하는 체적유량 또는 노즐로부터의 방출유량을 계산하는데 사용하는 식 Q= 0.6√가 있다. 이식의 유도과정을 기술하시오.
댓글 0
|
3 |
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중 HFC-23 소화설비, HFC-227ea 소화설비, HFC-125 소화설비의 최대 충전밀도(kg/m, 최소사용설계압력(P), 최대 허용설계농도(%)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4 |
케이블화재의 발생원인과 방화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5 |
방유제(Dike)시설이 있는 인화성액체 저장탱크에서 급격한 누출로 액면화재(PoolFire) 가 발생하였다. 인근 주변시설에 미치는 최대 복사열량(Maximum RadiantFlux)의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세부 검토항목을 포함하여 단계적으로 기술하시오.
댓글 0
|
6 |
국내 방화댐퍼의 설치기준과 미국 NFPA 코드(Code)에서 규정한 댐퍼의 내화성능, 작동온도 및 점검구 설치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3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국내 산업안전기준(KOSHA Code P-31)에 규정된 사고피해예측기법 내용 중 확산, 화재 (복사열) 및 폭발(과압)의 위험정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위험판정 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2 |
국내 도로터널의 화재안전 확보를 위하여 터널의 연장길이에 따른 방재등급의 범위 및 위험도지수 산정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3 |
소방공사 감리업자가 수행하여야 할 소방시설공사업법상의 주요 업무내용, 공사감리자 지정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, 소방시설성능시험조사표의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와 중계기의 점검항목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4 |
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과 비상방송설비 확성기의 분류, 동작 원리, 결선도를 포함한 결선방식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5 |
화학공장에서 화재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연속적인 발열공정(Exothermic Process) 반응기에 대한 공정안전(ProcesSafet목적으로 사용되는 계측기, 제어장치, 인터록기구 및 기타 공정장치에 대하여 항목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6 |
국토해양부고시에 의한 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성능기준과 한국산업규격(KS)의 중량셔터 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셔터의 연동제어기구(장치) 기준 및 개폐시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4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체적이 100m 이고 통풍이 잘되지 않는 실험실 내에서 수소(H2)가스농도가 연소하한계 (4% vol.)에 도달하는 수소가스의 한계방출량(kg)을 계산하시오. (수소분자량: 2, 공기분자량: 28.6, 공기밀도: 1.2 kg/m 적용)
댓글 0
|
2 |
소화펌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동현상(Cavitation)의 개요, 판정방법, 발생원인 및 현상, 방지대책에 대하여 각각 기술하시오.
댓글 0
|
3 |
건축법상 비상용 승강기의 설치제외 기준과 기술표준원 고시에서 규정하고 있는 로프식 비상용엘리베이터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4 |
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의 발연량과 연기층 하강시간, 연기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굴뚝효과 및 부력효과에 대하여 공식을 이용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5 |
차동식 분포형 열감지기의 종류별 구성요소, 구조도, 동작원리 및 작동계속시간시험, 유통시험, 리크시험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6 |
국내 위험물안전관리법상 규정된 “소화난이도등급-I”에 해당되는 위험물일반취급소의 시설규모 및 위험물 취급량 등의 기준을 열거하고, 제 4 류 위험물 취급시설인 경우에 적용 가능한 고정식 소화설비(Fixed Fire Fighting System)의 종류를 세부적으로 기술하시오.
댓글 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