발송배전기술사 제130회 기출문제

시험일: 2023-05-22

원본 시험지

PDF 다운로드

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.

다운로드
정리된 문제
1

1교시

번호 문제 내용
1

우리나라 22.9 kV-y 배전선로의 보호협조와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보호협조 방법 3가지 2) 배전용 리클로져의 구간협조장치(Sequence Coordination Accessory) 3) IEC-VI(Very Inverse) 보호협조 커브의 장점

댓글 0
2

석탄 화력 발전소의 대기오염물질과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3

아래 그림과 같은 L만의 회로와, C만의 회로에서 전압(   sin 가하였을 때, 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각 회로의 전압, 전류의 위상관계 및 특징 2) 각 회로의 전압, 전류의 실효치의 비

댓글 0
4

변위전류 및 변위전류가 포함된 맥스웰 방정식(암페어 법칙)을 설명하시오.

댓글 0
5

동기발전기에서 전기자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의 크기를 계산하시오. (단, 자속밀도    , 전기자 도체의 유효길이  , 도체의 이동속도   , 평균 자속밀도    ,  최대자속밀도 )    

댓글 0
6

초전도 현상을 설명하고, 퀜치(Quench)현상과 마이스너 효과(Meissner effect)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7

가공 송전선로의 활선상태에서 불량 현수애자 검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8

변압기의 변압비 측정방법 및 판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9

다음 변압기의 2차 환산등가회로 및 벡터도를 참조하여 최대 전압변동률과 % 임피던스의 크기가 같음을 증명하시오. (단, 는 정격 부하시의 역률각)

댓글 0
10

전력용 변압기 2대의 병렬운전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 2) 변압기 병렬운전 가능 및 불가능 결선 방법과 그 이유 3) 변압기 병렬운전시 부하분담율

댓글 0
11

배전계통의 역률이 개선될 경우 설비용량의 여유가 증가함을 벡터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12

국내 전력계통의 全계통 정전시 복구절차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全계통 정전시 복구절차 2) 황색차단기의 의미 3) 자체기동 발전소의 의미 및 발전원

댓글 0
13

전력계통 운영보조서비스(Ancillary Service)의 의미와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2

2교시

번호 문제 내용
1

가변속 양수발전소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가변속 양수발전소의 특징 2) 가변속 양수발전소의 종류 및 장단점 비교

댓글 0
2

예비전원설비(자가 발전설비) 용량선정 기준 및 방법을 설명하고, 아래 조건에 대한 자가발전설비 용량을 계산하시오. (단, KDS 31.60.20 : 2021 개정 기준) 조건, Gp : 발전기용량 (kVA) ∑P (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(kVA)) : - 부하집계(고조파 발생부하 제외) : 500kW (부하효율 80%, 역률 0.8이라고 한다.) - 부하집계(UPS는 미적용 되었으며, 기타 고조파 발생부하) : 100kVA (고조파 저감장치를 설치하였으며, 가중치 λ = 1.25, 고조파 발생부하의 효율 = 1 로 본다.) ∑Pm (전동기 부하집계(kW)) : 1,000kW - PL (전동기 부하중 기동용량이 가장 큰 전동기 부하용량(kW)) : 100kW (리액터 기동방식, 기동계수는 1.5 적용) - 전동기의 kW당 입력용량 계수는 1.3 K (발전기 허용전압강하 계수) : 1.2 적용

댓글 0
3

계통을 구성하는 각종 기기 및 전력설비의 절연강도를 선정하는 전력계통 절연협조 (Insulation Coordination)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4

다음과 같은 분산형전원이 한전계통과 연결되어 운영되고 있다. 이 계통의 고장점에 대한 단락용량을 계산하시오. 1) 분산형전원이 연결되기 전의 단락용량 2) ,  모두 회전기인 경우 단락용량 3) 은 회전기,   인버터인 경우 단락용량 (단, 기준용량은 100[MVA] 이며, 선로임피던스()는 고장점에서  지만 고려한다.) 자기용량 기준             100[MVA] 기준          × 3 – 2

댓글 0
5

R-L-C 회로의 직렬공진과 병렬공진을 설명하시오.

댓글 0
6

파일럿 계전방식 중 표시선 계전방식(전류 순환식 및 전압 반향식) 및 반송파 계전방식 (방향비교방식 및 위상비교방식)의 적용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3 – 3

댓글 0
3

3교시

번호 문제 내용
1

열병합발전의 장점 및 다음 그림에 표시된 주요 기기를 이용하여 중대형 열병합 복합 발전기(GT+ST)의 계절별 운전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(단, HTR : 열교환기, Condenser : 복수기, HRSG : 배열회수보일러, Deaerator : 탈기기, Feedwater Tank : 급수저장탱크)

댓글 0
2

조속기의 속도 조정률과 속도 변동률에 대하여 설명하고, 정격 출력 40,000[kW]의 수차 발전기가 60[Hz]의 전력계통에 접속되어 전부하, 정격 주파수로 운전중에 있을 때, 이 계통에 접속되어 있던 일부의 부하가 갑자기 차단되어 주파수가 60.2[Hz]로 상승 하였을 때 발전기 출력[kW]을 계산하시오. (단, 수차 발전기의 속도 조정률은 4[%]라 하고 조속기 특성은 직선이라고 한다.)

댓글 0
3

해상풍력발전소의 건설이 활성화됨에 따라 해저케이블의 적용도 빈번해지고 있다. 154kV AC 해저케이블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구조 및 특징 2) 해저케이블 보호공법에서 매설 및 비매설 공법에 대하여 비교 설명

댓글 0
4

대지고유저항률 측정방법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2전극법(Two Electrode Method, Two-point Method) 2) Wenner의 4전극법 3) Schlumberger-Palmer법 4) 간이측정법

댓글 0
5

배전계통의 전력손실 경감대책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비기술적 손실의 정의, 종류 및 감소방안 2) 기술적 손실의 정의, 종류 및 감소방안

댓글 0
6

전력계통의 전압안정도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모델계통 활용 P-V곡선 유도 및 해석 2) I-V 곡선 및 Q-V 곡선에 의한 전압안정도 해석 3) 전압안정도 향상 대책

댓글 0
4

4교시

번호 문제 내용
1

그림과 같이 전긍장의 중간지점 A까지 즉 OA간에는 전부하의 2/3가 분포되고, AB간에는 1/3부하가 각각 균등한 분포로 걸쳐 있고, B점의 전압강하가 1,320V일 때 O점으로부터 긍장 [  ]되는 22.9kV-y 배전선로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. (단, 3상4선식 선로이며, 역률은 균일하게 0.9)  1) ACSR-OC 160 가공선로 10,000 [kVA] 부하가 걸려 있을때의 긍장    (단, ACSR-OC 160 의         )  2) ACSR-OC 240 가공선로 15,000 [kVA] 부하가 걸려 있을때의 긍장    (단, ACSR-OC 240 의         )

댓글 0
2

비선형 부하가 연결된 배전계통에서 중성선의 과부하 발생원인 및 역률저하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3

장거리 대용량 송전선로에 직렬보상설비를 적용 시 직렬보상의 효과, 인접한 발전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
댓글 0
4

우리나라 전력계통에 연계된 신재생발전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. 1) 신재생발전기의 특성 2) 신재생발전기의 증가가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 3) 계통연계 기술기준

댓글 0
5

분산형 전원을 특고압 전력계통에 연계 시 다음사항을 설명하시오. 1) 변압기 결선 및 접지 방식에 따른 전압 및 보호특성 2) 연계변압기 결선방식의 종류 및 계통에 미치는 영향(장단점)

댓글 0
6

신재생발전기의 송전계통연계시 FRT(Fault Ride Through)의 의미와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1) FRT(Fault Ride Through)의 의미 2) 계통연계유지 기준 3) 무효전력 공급능력 기준 4) 유효, 무효제어능력 기준

댓글 0

댓글 (0)

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.

아직 댓글이 없습니다.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