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본 시험지
PDF 다운로드1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평판재하시험 결과로 기초지지력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 3가지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
2 |
공진각방형 진동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 |
합성기둥에서 매립형과 충전형 합성기둥의 공통적인 구조제한(구조세칙) 4가지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 |
활하중(live load)의 저감 규정 적용시 건축구조설계기준(KBC2005)을 바탕으로 영향면적(tributary area)에 따른 저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5 |
H 형강의 기둥, 보에서 판폭두께비가 불합격한 경우의 거동을 스케치하고, 플랜지 및 웨브의 보강방법을 3가지 정도 스케치 하시오.
댓글 0
|
6 |
철근콘크리트 휨재의 최소철근량과 최대철근량을 규정한 이유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
7 |
초고층건축물에서 골조와 전단벽구조의 수평력의 상호작용에 대해 간략하게 그림 그리고, 그리고 전단변형과 휨변형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8 |
철골접합부에서 블럭전단파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9 |
철골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와 보통모멘트골조의 차이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0 |
기둥과 보의 콘크리트강도가 서로 다른 경우, 강도차가 1.4배를 초과하는 콘크리트 타설시 조치해야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단, 기둥 fck = 50MPa, 보 fck = 35MPa
댓글 0
|
11 |
철근콘크리트 강도설계법 강구조 한계상태설계법의 하중조합에서 활력과 고정하중이 조합할 때 고정하중계수를 0.9로 정한 이유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2 |
눈의 튁적량에 의한 추가하중(snow drift)을 정의하고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3 |
최적 기초와 기둥접합부처럼, 우측의 계단슬래브에 대하여 A-A 단면, B-B 단면에 배근을 도시하고 인정철근 정착길이 구간을 표시하시오.
댓글 0
|
2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다음 그림과 같이 하중과 지점침하가 일어난 보의 모멘트도(BMD)를 작성하시오. 단, EI=2.4X10E5 kN.㎡, △B=4cm, △C=3cm
댓글 0
|
2 |
다음 구조물의 부재력을 구하시오. (1) 부재(AB) : 목재 300X450 (2) 부재 CD : 목재 300X300 (3) AD, BD : 철봉 440 (4) 탄성계수 : 목재 = 7,000 MPa 강재 = 210,000 MPa
댓글 0
|
3 |
핀접점의 트러스가 그림과 같이 스판 L=8.0m 높이 H=3.0m 이다. 트러스 철골단면 A=4,000m㎡ 탄성계수 E=200Gpa, 하중 P는 수직으로 D점에 작용한다. (1) 하중 P가 120kN 이면 C절점의 변위는 얼마인가? (2) C절점의 변위가 2mm로 제한된다면 최대허용하중 Pmax는 얼마인가?
댓글 0
|
4 |
다음 골조의 지점반력과 절점 C에서의 단면력의 수평 및 수직성분을 구하시오.
댓글 0
|
5 |
다음 그림과 같이 D10 또는 D13 철근이 90° 표준갈고리로 벽체나 보에 인장정착 될 경우, ① 인장정착길이 ② 요구되는 최소 휨모멘트(=압축대) 보 폭 또는 50mm 단, fck=27MPa, fy=400MPa
댓글 0
|
6 |
남영송 2등급 목재를 사용하여 아래그림의 기둥설계의 적정성을 검토하시오. 단, 조건은 ①단면의 x축과 y축 방향에 대하여 지점조건은 동일하다. ②하준은 고정하중과 좌분포하중이 조화로 하다 ③기둥 ④방부 ⑤Fc= 안정?
댓글 0
|
3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래그림과 같이 전단벽들을 포함하고 있다. 옥상하중이 그림과 같이 주어지고 벽두께가 동일하다고 가정하였을 때 (1)남북방향의 질량중심(center of mass) 및 강성중심(center of rigidity) (2)질량중심과 강성중심의 편심거리(eccentricity) (3)뒤틀림모멘트(torsional moment) (4)강성중심을 기준하여 전단벽의 극한성모멘트(porlar moment of inertia) (5)남북방향의 전단벽에 작용하는 각각의 전단력(shear force)를 구하시오.
댓글 0
|
2 |
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재령 3개월에서의 단기처짐과 재령 5년에서의 장기처짐을 구하시오. ① 고정하중(지붕 골조포함)=2.5N/㎜ ②활하중=5.0N/㎜(50%가 지속하중으로 작용) ③경간=8,000㎜ ④재료강도 : fc=27Mpa fy=400Mpa ⑤배근 : As=1521㎜(3-D25), A's=774㎜(2-D22) ⑥ Es=2.0X10E5 Mpa ⑦p=As/bd=0.0094, p'=A's/bd=0.0048
댓글 0
|
3 |
다음 그림의 1방향 계단슬래브에 대하여 부재단면력을 계산하고 철근량을 산정하여 배근도를 그리시오. 단, ①k=강비, ②오른쪽 뽀의 강비=0.5 ③왼쪽지(보와 연속슬래브)강비 k=0.5 ④fck=24MPa ⑤fy=400MPa ⑥D10(As=71㎡), ⑦D13(As=127㎡) ⑦보 및 뽀설계는 제외
댓글 0
|
4 |
다음과 같은 T형보의 단부에 보모멘트에 의한 소요철근이 9-D19 이다. 이 철근을 건축구조설계기준(KBC2005)에 따라 배근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. 보의 경간은 8.0m임.
댓글 0
|
5 |
부정정구조물이 정정구조물에 비하여 어떠한 장·단점이 있는지 다음 측면에서 설명하시오 (1) 안전성 (2) 사용성 (3) 시공성 (4) 지점침하, 온도변화, 제작오차의 영향 (5) 해석 및 설계
댓글 0
|
6 |
다음 그림과 같은 장방형기둥의 공칭강도와 설계강도를 계산하여 P-M 상관곡선을 작성하시오. fy= 400MPa Es=2.1X10E5 MPa D29 철근단면적 A1=642㎡ fck=24MPa
댓글 0
|
4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H-400X400X13X21(SM490)의 H형강이 양단 단순지지되어 4,000kN의 중심압축력을 받고 있다. 압축재의 길이가 9m이고 약축방향으로는 부재중간에서 가세로 횡지지 되어 있으며 휨변위가 구속되어 있다. 이의 안전성을 검토하시오. (H-400X400X13X21 : A=2.187X10E4㎡, rx=175mm, ry=101mm, r=22mm, Ix=6.66X10E8 ㎟, ly=2.24X10E8 ㎟, 축력은 계수하중이며, 한계상태 설계법을 적용하시오.)
댓글 0
|
2 |
강구조 인장재의 파단한계상태 공칭인장강도산정 시 유효순단면적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유효순단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 |
H 형강보 H-500X200X10X16(SS400)의 이음부를 한계상태 설계법으로 설계하시오. 단, 이음부의 소요휨모멘트 Mu=350kN.m, 소요전단력 Vu=300kN이고, 고려볼트는 M22(F10T)를 사용한다. H-500X200X10X16 의 소성단면계수 Z= 2180X10E3 ㎣, Fy=235MPa, Fu=400MPa, 볼트 Fss= 220N/㎣, φSs=0.9X(n.Ab.Fss)
댓글 0
|
4 |
크레인이 설치되는 철골공장 건축물에서 크레인의 인양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크레인빔량 크레인거이더와 기둥형상의 종류를 스케치하고 주요부의 상세를 도시하시오. 부재는 H 형강, ㄷ 형강, ㄴ 형강을 주로 사용함.
댓글 0
|
5 |
포탈법(portal method)을 이용하여 아래그림의 구조물에 대하 휨모멘트도(BMD)를 작성하고 지점의 축력(axial force)를 계산하여 다이어그램(AFD)를 작성하시오.
댓글 0
|
6 |
중간모멘트골조에 속하는 순강경간 6m의 보에 고정하중 30.0kN/m (지붕포함), 활하중 20.0kN/m 이 작용하고 있다. 이 보 양단부 배근이 아래와 같을 때 보가 지진력에 저항하기 위한 전단력도를 작도하시오. (단, 보의 공칭모멘트 산정시 압축 철근은 무시한다.) fck=21MPa fy=400MPa D22 철근단면적 A1=387㎡ 피복두께 =40mm
댓글 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