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본 시험지
PDF 다운로드1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발덮음에 대하여 3가지 이상 설명하시오.
댓글 0
|
2 |
철근콘크리트 구조 설계에서 설계감소계수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 |
공동주택(벽식) 바닥(경량)충격 차단 표준 바닥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 |
기초구조를 설계할 때 기초형식판단 및 안전확인을 위하여 하여야할 조건 5개이상 서술하시오.
댓글 0
|
5 |
철근 콘크리트 고층아파트 설계시 균열단면의 강성을 고려한 해석을 하는 이유와 해석시 적용할 수 있는 구조부재(보, 기둥, 비균열벽체, 균열벽체, 플랫플레이트)각의 유효강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6 |
플랫 슬래브 구조에서 기둥에 전달되는 불균형 휨모멘트의 전달 메카니즘 중에서 전단전달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7 |
우리나라 동하중기준(2000년, 대한건축학회)에서 규정된 풍속과 설계풍속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8 |
콘크리트의 크리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9 |
응집계수와 풍력계수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
댓글 0
|
10 |
한계상태 설계법에서는 소성해석에 의한 소성설계를 허용하고 있으나, 많은 경우에 탄성해석에 의한 일반설계보다 경제적이지 않은,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1 |
플레이트 거더의 설계시 사용되는 인장응력장 작용(Tension Field Action)에 대하여 그 구조적 작용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12 |
철근콘크리트 보의 비틀림설계에서 정정비틀림과 부정정비틀림의 차이를 설명하고 어떻게 설계에 반영하는지를 기술하시오.
댓글 0
|
13 |
철근콘크리트보에 배근되는 겹침철근의 구조적 역할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2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아래 그림의 정정트러스에서 D점에서의 수직처짐을 가상일법(Virtual Work)으로 구하시오. (단, Ao=5cm, E = 2.1x10 kgf/cm)
댓글 0
|
2 |
아래 그림의 단면을 갚는 기둥의 단면내력을 검토하시오. Pu = 2500KN, Mu = 200kNm (모멘트 작용계수 포함) 단, fck = 35MPa fy = 400MPa Es = 2.0 x 10 MPa
댓글 0
|
3 |
파괴하중에 의한 고층건물의 사용성(기능성) 평가방법 및 기준에 대하여 서술하고, 사용성 기준을 초과하였을때의 대처방안에 대해서 논하시오.
댓글 0
|
4 |
아래 그림의 철골 단순지보에서, 단부지점 및 하중작용점의 Web에 대한 국부안정성을 검토하시오. (단부 및 하중점의 지지길이는 10 cm임) 집중하중 PL = 15 tf (활하중) 등분포하중 WD = 2t/m (고정하중)
댓글 0
|
5 |
아래 그림의 콘크리트 단순 지지보의 균열 발생 여부를 검토하시오. 보스판: 12.0m, 작용등분포하중: 2tf/m, fck=270 kgf/cm fy = 4,000 kgf/cm Es = 2.0 X 10 kgf/cm
댓글 0
|
6 |
길이 2.0m인 부재의 단면중심에서 편심거리 10 cm인 지점에 계수하중 50tf가 인장력으로 작용할 경우, H-250X250x9x14 부재의 적정성을 검토하시오. (단, BASE PLATE의 적정성 검토는 생략하시오.
댓글 0
|
3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다음과 같은 하중을 받는 철근보의 최대처짐 위치의 'x'값과 최대처짐을 2cm로 제한 하였을시의 P값을 구하시오.
댓글 0
|
2 |
영구토압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보 A-B 부재의 최대설계모멘트를 구하시오.
댓글 0
|
3 |
아래 그림과 같이 '옹벽 변경'에 의해 W=5.0 tf/m의 등분포 하중이 재하될 때 보강설계를 하시오. (단, 보폭은 변경할 수 없다)
댓글 0
|
4 |
PILE 독립기초 형식의 지하주차장이 있다. 내부기둥 'Cl'에 대하여 1) 부상에 대하여 안전성을 검토하고 2) 파일과 락앙카(Rock Anchor)를 고려한 독립기초를 평면, 단면 스케치를 하시오.
댓글 0
|
5 |
다음과 같은 캔틸레버 철골보 골부분에서 높이 10cm 위치에서 낙하할 경우 1) 최대처짐과 2) 최대동적토크를 구하시오.
댓글 0
|
6 |
그림과 같은 합성보를 한계상태설계법을 사용하여 설계하고자 한다. 합성보 길이에 걸쳐 개당 전단 능력이 1 ton인 스터드가 40개 배분되어 있을 때 이 합성보가 저항할 수 있는 등분포로 계수하중 w(t/m)을 구하시오.
댓글 0
|
4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다음 그림과 같은 라멘의 붕괴기구를 설명하고 그때의 극한하중 Pw, Pg를 구하시오. (단, h = 1/3 * Pw = Pg)
댓글 0
|
2 |
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보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. 가. 이론적인 완전소성파괴 메카니즘에 의해 저항할 수 있는 최대하중 P를 구하시오. 나. 철근콘크리트보에서 완전 소성파괴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전제조건을 기술하고 현 설계기준에서 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 |
아래 그림과 같은 2경간 연속철근콘크리트보가 있다. 이 철근콘크리트보의 주철근 절단위치(cut-off 위치)를 결정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과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 |
다음과 같은 트러스 구조의 부재력을 구하시오.
댓글 0
|
5 |
다음 조건의 플랫플레이트 구조에서 내부기둥 주위의 전단응력을 구하시오. 단, 직접설계법을 사용하는 슬래브로써 슬래브에서 기둥으로 전달되는 불균형모멘트는 0.3 Mo로 본다.
댓글 0
|
6 |
아래 그림과 같이 대공간 지붕구조를 케이블 구조로 설계하려고 한다. 물음에 답하시오. 가. 각 부재를 인장재(케이블)은 T로 압축재(스트럿)은 C로 표시하시오. 나. 그림 A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구조가 그림 B 구조보다 구조적으로 나은점을 열거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.
댓글 0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