원본 시험지
PDF 다운로드1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복원계수(Modulus of Resilience)
댓글 0
|
2 |
인성계수(Modulus of Toughness)
댓글 0
|
3 |
전단흐름(Shear Flow)
댓글 0
|
4 |
횡구속골조 및 비횡구속 골조의 정의
댓글 0
|
5 |
철근콘크리트 보의 처짐 계산에 사용되는 유효단면 2 차 모멘트 Ie
댓글 0
|
6 |
철근콘크리트 부재설계시 구조안전성의 개념
댓글 0
|
7 |
구조용 무근콘크리트
댓글 0
|
8 |
철근콘크리트 보에서 휨부착 응력의 분포
댓글 0
|
9 |
콘크리트 브라켓의 전단보강 방법
댓글 0
|
10 |
옵셋 굽힘 철근(상하층 기둥단면 치수가 변하는 경우)
댓글 0
|
11 |
강재의 항복비(Yield Ratio)
댓글 0
|
12 |
강재 및 콘크리트의 화재시 온도변화에 따른 강도변화
댓글 0
|
13 |
Lift-up 공법 제 2 교시 ※ 다음 6 문제중 4 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. (각 25 점)
댓글 0
|
2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다음 그림과 같은 하중을 받는 트러스 부재의 압축 인장응력을 구분하고 각 부재에 작용하는 힘(Force)을 구하시오.
댓글 0
|
2 |
다음과 같은 하중을 받는 보의 전단력도(SFD)와 휨모멘트도(BMD)를 그리고 중요지점의 값을 구하시오.
댓글 0
|
3 |
두 개의 캔틸레버 보 AB 와 CD 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고 B 점에 집중하중 P 가 작용하고 있다. D 점의 처짐이 B 점의 처짐의 1/2 이 될 때 스프링의 강성과 A 점과 C 점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구하시오.
댓글 0
|
4 |
물탱크 측면에 풍하중(풍압=0.1t/m ) 작용시 아래 그림에서 N1, N2, N3 의 부재력을 계산하시오. (단, - - - 부분은 무시, 철탑에 작용하는 풍력 및 자중은 무시함.)
댓글 0
|
5 |
내진, 제진, 면진의 개념을 약술하고, 국내 규준에 의한 지진구역 I(중진구역)에 대한 철근 배근 상세도를 보, 기둥, 벽체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시오.
댓글 0
|
6 |
모멘트 확대 계수법에 의한 장주의 설계방법을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다음 그림과 같은 축력과 휨모멘트를 받는 말뚝기초(pile cap)를 설계하시오. - -조건 : PD = 152tf ; MD = 32tfmPL = 48tf ; ML = 22tf․m - - 말뚝의 지름 dp = 400mm, 말뚝의 허용지지력 = 40tf/말뚝, 2 2 - - 기둥의 크기 = 600×600, fy = 4000kgf/cm , fck=210kgf/cm
댓글 0
|
2 |
매입형 합성기둥이 순수압축력만을 받는 경우 설계압축강도를 구하시오. 단, 부재 유효좌굴길이 KL=4.5m 이며, 내부형강은 SM490 강재로서 H- 400×400×13×21(A=219㎠, Ix=66,600cm , Iy=22,400cm , rx=17.5cm, ry =10.1cm)이며, 내부주근은 12-D25(SD40)fck=240kgf/㎠띠철근은 D10@150, 보조띠철근은 D10@600 이다.
댓글 0
|
3 |
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2 방향 슬래브의 등가골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 |
2 축 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 설계에서 상관곡선면을 그리고 등하중 선법 (Load contour method상반하중법(reciprocal load method)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5 |
철근 콘크리트 주상복합 건물 구조 설계시 다음의 내용에 답하시오. 1) 구조계획시 유의할 점---------------------2) 구조해석 절차 3) 부재설계시 경험한 내용(가급적 골조를 예를 들어 설명할 것)
댓글 0
|
6 |
슬라이딩(Sliding) 공법의 개요, 특징 그리고 공법의 적용효과등에 대해 설명하시오.
댓글 0
|
4교시
번호 | 문제 내용 |
---|---|
1 |
다음 그림과 같은 조건에서 보의 진동문제를 Earocode 3 에서 규정하고 있는 fo = 1 ․ α E sI 2 π L2 √ m 에 따라 검토하시오. 2 2 고정하중 : D=360 kgf/m , 진동 적재하중 L=50 kgf/m , 슬래브 토핑 콘크리트 두께 80mm, 데크플레이트 춤 : 75mm, 환산데크춤 38mm, 작은보 B1=H- 500×200×10×16(A=114.2㎠, I=47,800cm , W=89.6kgf/m ), 큰보 G1 ; =H- 4 606×201×12×20(A=152.5㎠, I=90,400cm , W=120.0kgf/m), 콘크리트 강도 fck=0.24tf/cm , 작은보 패널의 유효중량 ; 68 tf, 큰보 패널의 유효중량 69 tf 로 가정, α : 기본 진동모드의 진동계수로서, 단순보 지지보 α=9.869, 양단고정보 α=22.37
댓글 0
|
2 |
강구조 설계에서 한계상태 설계 기준의 기둥이음 설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
댓글 0
|
3 |
크레인과 같은 이동하중이 아래 그림과 같이 단순보 위에 작용할 때 철골 플레이트 보를 설계하시오. (단, 강재 SS400, 횡좌굴은 구속된 것으로 가정, 허용응력 설계법으로 할 것)
댓글 0
|
4 |
철골구조 창고 평면이 아래 그림과 같을 때, 기둥간격, 지붕구조, 벽체구조, 기둥주각, 주요접합부 개념을 도시하고 설명하시오. (단, 처마높이 ; 7m, 지붕 : 벽체마감은 샌드위치 두께 : 75mm, 전면 및 측면 출입구 2 개소, 출입구 높이는 4m 가정함)
댓글 0
|
5 |
철근콘크리트 건물의 지하 외벽에 면하는 기둥에 축력 Nu=2900tf, 토압에 의한 최대전단력 Vu=550tf 이 작용할 때 전단에 대해서 검토하고, 지진구역 I 에 해당하는 기둥대근(Hoop)상세도를 작성하시오. (단, 지하층고 ; 6m , 철근피복두께 : 8cm, 콘크리트 강도 fek=270kg/cm , 철근 2 fy=4000kg/cm , 주근배치는 기둥대근 배치에 따라 적절 배치함.)
댓글 0
|
6 |
대공간 구조물의 지붕트러스에서 직교하는 4 개의 H-형강 수평부재(+자형)에 4 개의 H-형강 경사부재 및 1 개의 H-형강 수직부재가 1 절점에서 접합될 때 가셋트 플레이트 접합상세를 스케치하시오. (단, 4 개의 수평부재와 4 개의 경사부재는 각각 동일 수직면상에 있다.)
댓글 0
|